1. 모드 제작자와 한글화

www.youtube.com/watch?v=jDIuWv7ROi8

Create 모드의 공식 홍보 영상

이 모드는 simibubi와 그 팀에 의해 제작되었습니다. 호환되는 버전은 1.14.4와 1.15.2(1.16.1로도 개발 예정)이며, 모드 로더는 포지입니다. 첫 호환 버전이 1.14.4인 것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상당히 최근에 나온 모드이지만, 처음 소개되었을 때부터 굉장히 좋은 반응을 불러일으키면서 많은 주목을 받는 모드입니다.

이 글을 작성하는 시점에서 모드의 버전은 0.2.4로, 버전만 봐도 개발 초기 단계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모드의 특징을 간략히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바닐라 마인크래프트에서 확장된 듯한 블록들 - 한칸보다 더 멀리 밀 수 있는 피스톤, 4틱 이상 딜레이를 줄 수 있는 레드스톤 리피터, 신호를 받으면 on/off가 토글 되는 레버, 무선 레드스톤 신호 전송 등 레드스톤으로 더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게 도와주는 블록들이 추가됩니다.
  • 멀티블록 위주 - 거의 모든 기계 블록들은 더 큰 기계의 부픔으로 활용되고, 하나만으로 뭔가 할 수 있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 풍차 - 실제로 돌아가는 풍차를 만들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풍차에서 나오는 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 그 외에도 다양한 '움직이는' 장치를 만들어서 마이닝 머신을 만들거나, 농사를 자동화하거나, 거대한 철공장(효율은 장담 못함)을 만들거나 할 수 있습니다.

이 시리즈에서는 처음 모드를 시작할 때 다루게 되는 기계들부터, 어떤 식으로 더 높은 티어의 기계들을 만들고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써 보려고 합니다.

qkrehf2님에 의해 한글화가 되어 있습니다.

다운로드: www.curseforge.com/minecraft/mc-mods/create/files

2. 가장 처음에 필요한 것들

2.1 추가되는 광물들

오버월드에 광물 원석이 추가되는 광물들은 zinc(아연)과 copper(구리)입니다.
이 둘의 광석, 주괴, 블록, 조각 등이 추가됩니다.

  • 아연은 낮은 티어 광물 제작시에 철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구리는 자체로는 용도가 적지만 점차 추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아연과 구리의 합금인 brass(황동)을 제작할 수 있습니다. 

 

현실에서 구리가 산소와 반응해 색이 바뀌는 것처럼, 이 모드의 구리도 공기에 노출되면 천천히 색이 변합니다. 만약 구리 블록을 사용해 건축을 한다면 결국에는 이렇게 연초록색으로 바뀐다는 점을 기억해 둡시다.

구리로 만든 자유의 여신상도 처음엔 동메달의 구리 색깔이었습니다
구리 원석과 블록은 공기에 노출되면 아주 천천히 색이 바뀝니다(고속 재생)

2.2. 안산암 합금(Andesite Alloy)

Andestite Alloy(안산암 합금)는 Create Mod의 가장 첫 기계들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재료입니다. 하나를 만드는 데에는 안산암 2개 그리고 철 조각 2개 또는 아연(zinc) 조각 2개가 필요합니다. 안산암이 충분히 있다면 철 주괴 하나당 4.5개를 만들 수 있고, 로우 티어부터 하이 티어까지 두루두루 많이 쓰이는 합금이므로 넉넉하게 만들고 시작하면 편합니다.

Create 모드의 가장 기초가 되는 합금입니다

나무도 많이 쓰이기 때문에, 나무를 많이 캐놓거나 벌목장을 준비해 놓으면 모드 진행이 더 쉽습니다.

2.3 톱니바퀴(cogwheel)

톱니바퀴는 에너지를 전달해주는 매개체이면서, 다른 기계들의 재료로도 많이 사용됩니다.

  • cogwheel(톱니바퀴): 안산암 합금 + 나무 버튼 8개
  • large cogwheel(큰 톱니바퀴): 안산암 합금 + 나무 버튼 4개 + 나무 판자 4개

3. 첫 발전기 만들기

Create 모드의 기계들을 사용하려면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이 모드에서 사용하는 에너지는 '토크(회전력=rotational force)'입니다. 토크는 유명한 기계 모드들의 전력처럼 눈에 보이지 않고 전선을 타고 이동하는 무언가가 아니고, 말 그대로 축(shaft)과 기계들을 회전시킬 수 있는 힘입니다. 에너지가 있으면, 축이 돌아가고 있기 때문에 눈으로 바로 확인할 수 있죠.

가장 쉽게 만들 수 있는 발전기는 물레방아(water wheel)입니다. 이머시브 엔지니어링을 해본 분들이면 익숙한 발전기입니다. 먼저 안산암 합금과 버튼 4개, 나무 판자 4개로 큰 톱니바퀴를 만들고, 톱니바퀴 하나와 나무 반블럭 8개를 조합하면 물레방아가 만들어집니다. 

물레방아를 설치한 뒤, 옆으로 물이 새지 않게 막아주고 물레방아 대각선 왼쪽 위 칸에 물을 부어줍니다. 물레방아의 날개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약간 꺾여 있어, 물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만들어야 합니다.

주의할 점은, 물 소스 블록 바로 아래에 블록을 설치해야 합니다. 해당 위치에 블록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발전량은 2배의 차이가 발생합니다. 이 블록이 없으면 물이 회전 방향과 회전 반대방향으로 동시에 떨어져서, 발전량을 상쇄시키기 때문입니다.

블록이 없는 경우
물 바로 아랫칸에 블록을 설치한 경우

속도의 차이가 느껴지십니까?

이제 회전하고 있는 물레방아의 축을 연장해서 다른 기계를 돌릴 수 있습니다.

+ Recent posts